트라우마
- 트라우마
- 자살
- 애도
- 자해
상담대상
- 교정/법무
- 다문화
- 기업
- 아동
상담이론
- 상담/사례개념화
- 상담이론
- 집단
- 상담연구방법론
- 실존
- 가족
- 성격
- 심리컨설팅
- 기타
발행년월 제목
2024 코로나 대유행 시기 외로움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종단매개효과
2023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에 관한 연구: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토대로
2023 2021년 코로나 유행 시기 비일상성 경험, 건강행동, 심리적 기능에서의 성별 및 연령 효과: 8개월 두 시점 종단연구를 통해
2023 사별 경험 이후 사회적 의미 만들기 척도 타당화 연구
2023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두려움과 우울의 변화궤적 및 영향요인 분석
2023 한국 성인의 트라우마 유형과 심리적 증상
2023 코로나 대유행 시기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종단매개효과
2023 Validation of the Dimensions of Anger Reactions Scale (the DAR-5) in non-clinical South Korean adults
2023 코로나 대유행 시기 자살사고 유병률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23 청소년 자살의 보호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 생물심리사회적 접근을 바탕으로
2023 베르테르 효과와 파파게노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미디어의 자살관련 내용 노출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실재하는가?
2023 Predictors of suicide ideation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A machine learning approach
2023 자살사고 속성척도 (Suicidal Ideation Attributes Scale; 이하 SIDAS) 타당화 연구
2023 청소년 자해, 자살 사고, 자살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2023 비자살적 자해와 자살생각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자살행동 및 심리변인에서의 차이
2023 자해와 자살행동 메타분석 연구 개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따른 위험 및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2023 비자살적 자해행동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2023 법무보호대상자(출소자) 대상 심리상담서비스에 대한 기관 내·외부 전문가의 인식: 2017년 인터뷰를 토대로
2023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Counseling within the Scope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2022 잠재전이분석(LTA)을 활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PTG) 수준의 양상과 영향요인 검증
2022 South Korean validation of the COVID-related-PTSD scale in a non-clinical sample exposed to the COVID-19 pandemic.
2022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비일상성 경험과 건강행동이 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 효과
2022 한국판 지속비애척도 (PG-13-K) 종단 타당화 연구
2022 청소년의 트라우마
2022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외로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기반한 잠재계층분석
2022 한국판 트라우마 분노반응척도-5 (DAR-5-K) 의 종단 타당화 연구
2022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스트레스 대처 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요인 검증.
2022 코로나 대유행이 부정정서, 우울, PTSD 증상,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4개월 단기종단연구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suicide screening questionnaire-observer rating (SSQ-OR)
2022 A review of suicide risk assessment tools and their measured psychometric properties in Korea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rating suicide risk screening questionnaire
2022 자기보고형 자살 스크리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예비 연구
2022 How Bereaved Parents Experience Public, Self Stigma Years After a Child’s Death.
2022 Psychometric properties, st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longed Grief Disorder Scale (PG-13-K): A longitudinal study among bereaved Koreans.
2022 트라우마와 사별 경험에 대한 개인의 의미통합 척도(K-ISLES): 한국판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2022 한국판 지속비애척도 (PG-13-K) 종단 타당화 연구
2022 비자살적 자해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요인
2022 외로움과 비자살적 자해 심각도의 관계: 미디어 및 대인관계를 통한 자해노출의 조절효과.
2022 비자살적 자해행동 평가도구 개관
2022 자해 심각도와 정서조절곤란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유형 분석: 영향요인 및 유형별 심리적 디스트레스 차이
2022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 외상,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수감횟수간의 관계구조 분석.
2022 Validation of the South Korean adolescents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2022 정신건강 영역에서의 디지털 치료제 동향과 시사점
2022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Application: A Formative Evaluation
2022 Longitudinal perspective of the stigmatization of secondary school dropouts.
2022 Validation of the South Korean Version of the Beliefs about Emotions Scale
2022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경험 탐색
2022 South Korean short version of the Swedish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2021 초월적 시간관 척도 (TFTPS) 타당화
2021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서의 CISD와 CISM 집단 경험보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2021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인의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종단 두시점 비교연구
2021 여자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유지에 대한 사례연구: 생물심리사회모델을 중심으로
2021 성인의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 발생의 관계에서 성인애착과 자존감의 매개효과: 통합적 이론모델을 중심으로
2021 Influence of Childhood Trauma on Former Prisoners’ Attributional Style and Recidivism in Three Years.
2021 출소자의 아동기 가족구조와 현재 가족 연결 여부에 따른 주관적 가족 경험 및 심리기능의 차이
2021 아버지의 정서표현 및 정서반응이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2021 초· 중학생 반응적, 주도적 관계공격성이 또래괴롭힘 피해 및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2021 학교 밖 청소년의 관계경험 탐색: Haslam 의 사회정체성 모델 적용
2020 PCL-5 (DSM-5 기준의 PTSD 체크리스트) 성인 대상 한국판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2020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2020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PTSD 증상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따른 잠재계층 도출과 영향요인 검증: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2020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Expanded: PTGI-X) 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2020 잠재프로파일분석 (LPA) 를 통한 성인 외상 경험자의 PTSD 증상의 유형과 특성 분석
2020 Parental perceptions of surviving sibling grief responses to an adolescent’s violent and sudden death by the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2020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Bereaved Parent's Changes in Life Experience after the 2014 Sewol Ferry Sinking.
2020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애도회피의 매개효과.
2020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2020 비자살적 자해의 중단 및 유지집단 간 비교연구: 자해특성과 통합적 이론모델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2020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 심각도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정서홍수모델을 중심으로
2020 비자살적 자해 공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2020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외상, 자아탄력성, 적극적/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초범/재범여부와 주거/숙식 지원여부를 중심으로
2020 청소년 자녀를 둔 남성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외상이 아버지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이중매개효과
2020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2020 아동의 부애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2020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변인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2020 초등학생의 또래거부가 외현적/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구조의 조절효과.
2020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의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을 중심으로
2020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0 한국판 정서에 대한 신념 척도의 타당화
2019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한 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양상: 폭식, 비자살적 자해, 문제성 음주의 차이
2019 대학생의 애착유형, 지각된 사회적지지,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2019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한 성인의 낙관성, 대처 방식, 외상 후 성장, PTSD 증상, 음주 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2019 트라우마 사건 경험과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
2019 학교 장면에서의 위기대응 양상에 관한 사례 연구 : 자살 위기 상황에서 학교 상담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2019 사별 이후 지속비애 증상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2019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2019 사별의 예측 여부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2019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잠재계층유형의 위험요인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2019 한국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자해 방법 및 기능에서의 성차를 중심으로
2019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수감횟수 및 최초범죄연령별 다집단분석
2019 범죄유형 및 수감기간에 따른 남성 출소자의 MMPI-2 반응 특성 비교
2019 출소자 대상의 보호사업 및 심리상담 서비스가 재범여부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2019 성인 출소자의 아동기 외상과 가족기능성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검증
2019 증권사 접점 직원의 정서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과 직무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
2019 Unselfish Motivations and Devian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ocial Concern Theor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2019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학급 및 초등학생 특성 이해: 또래관계 및 스트레스, 학교적응, 공격성을 중심으로
2019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성향과 충동성의 이중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2019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연구 동향 탐색
2018 DSM 진단기준 여부에 따른 청소년의 트라우마 경험과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매개효과
2018 DSM 진단기준의 충족 여부 및 사건의 직, 간접 경험 여부에 따른 심리적 기능의 차이
2018 DSM 진단기준과 대인 및 비대인 외상사건에 따른성인의 PTSD 증상,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의 차이
2018 PTSD 증상의 조건비율에 근거한한국 성인의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연구
2018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정서적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8 자살사건 외상대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고등학교 교사경험을 중심으로
2018 Parental Perceptions of Surviving Sibling Grief Responses to an Adolescent’s Violent and Sudden Death by the Sewol Ferry Disaster
2018 Parenting school-aged children after the death of a child: A qualitative study on victims’ famil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2018 사별에 따른 지속비애 증상과 문제성 음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2018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자조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2018 자녀를 잃은 아버지들의 삶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세월호 재난을 중심으로
2018 청소년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부부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세월호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2018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으로 조절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2018 여섯 번의 수감 생활을 한 여성 노인의 생애사 재구성
2018 남편의 수감 생활 및 출소 과정에서 경험하는 출소자 아내의 자녀양육: 자녀의 발달수준을 중심으로
2018 사회연결망 분석에 기반한 우울 성향을 지닌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분석
2018 초등학생의 ADHD 하위요인 증상이 인터넷 과다사용과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2018 초.중학생의 생활양식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8 교사, 부모,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ADHD 성향과 또래거부간의 관계
2018 부모 및 교사가 보고한 아동의 ADHD증상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기술과 우울증상의 이중 매개효과
2018 학생, 부모, 교사가 보고한 초기 청소년 ADHD 증상의 요인 구조 모형에 관한 탐색 연구
2018 ADHD 증상과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인터넷 중독 성향과 분노표출의 매개효과
2018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2018 Strengths based rehabilitation assessment: Adapted Inventory of Virtues and Strengths
2018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와 부애착의 조절효과
2018 학생 위기개입 과정에서의 교사경험에 대한 연구
2018 Resilience From a Virtue Perspective
2017 Peer victimization in Korea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fluence of parental bonding and mental health
2017 성별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이 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반추의 매개효과
2017 대학생의 가족 및 타인에 의한 대인외상경험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2017 성격 5요인, 외상 후 인지, 사건관련 반추,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외상 후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2017 Life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After the 2014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2017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2017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 지지, 갈등,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
2017 한국판 지속비애 척도의 타당화 연구
2017 여성출소자의 사회재진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2017 교정전문가 및 교정상담자가 인식하는출소자의 사회재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2017 출소자의 부모애착과 수감횟수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숙식지원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2017 ADHD 증상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Work Values Across Four Nations
2017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2017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 연구
2017 초등학교 남자교사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육아휴직 후 1년 이내의 변화
2016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6 대학생의 대인외상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외상경험 관련 변인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2016 세월호 재난으로 친구를 잃은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자의 보고(report)를 중심으로
2016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삶과 가족관계 경험
2016 아직도 가야 할 길: 출소자의 아내가 경험하는 삶의 도정(道程)
2016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주거지원 가정을 중심으로
2016 수감자 아내들의 삶
2016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2016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2016 한부모가정 아동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이 우울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16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onding and peer victimization: examining child stress and hopelessness as mediators
2016 전통예술 가업계승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의 의미-Giorgi 현상학적 접근
2016 일본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심리지원체계 고찰과 시사점
2016 재난 대응시 심리지원 체계의 국내.외 현황
2016 Psychosocial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A Virtue Based Model
2016 Measuring the Virtues and Character Traits of Rehabilitation Clients: The Adapted Inventory of Virtues and Strengths
2016 Application of social control theory to examine parent, teacher, and close friend attachment and substance use initiation among Korean Youth
2016 Schoo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in East Asia: Perspective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field
2016 대학생의 회피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2016 세월호 재난 위기개입에 참여한 상담자의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접근
2015 고위험 공무 직업군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2015 대학생이 경험하는 외상사건 유형에 관한 연구
2015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2015 Psychological, family, and social factors linked with juvenile theft in Korea
2015 절망 속에서 희망 찾기: 주거지원 남성출소자의 교도소 수감 및 출소에 대한 부인의 경험
2015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2015 재난정신건강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15 미국의 재난심리지원 체계 및 재난위기상담의 실제와 시사점
2015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5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2015 중학생이 지각한 모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의 조절효과
2015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 및 예방교육에 대한 부모, 교사, 학교 현장 전문가의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