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
코로나 대유행 시기 외로움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종단매개효과
|
2023 |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에 관한 연구: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토대로
|
2023 |
2021년 코로나 유행 시기 비일상성 경험, 건강행동, 심리적 기능에서의 성별 및 연령 효과: 8개월 두 시점 종단연구를 통해
|
2023 |
사별 경험 이후 사회적 의미 만들기 척도 타당화 연구
|
2023 |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두려움과 우울의 변화궤적 및 영향요인 분석
|
2023 |
한국 성인의 트라우마 유형과 심리적 증상
|
2023 |
코로나 대유행 시기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종단매개효과
|
2023 |
Validation of the Dimensions of Anger Reactions Scale (the DAR-5) in non-clinical South Korean adults
|
2023 |
코로나 대유행 시기 자살사고 유병률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2023 |
청소년 자살의 보호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 생물심리사회적 접근을 바탕으로
|
2023 |
베르테르 효과와 파파게노 효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미디어의 자살관련 내용 노출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실재하는가?
|
2023 |
Predictors of suicide ideation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A machine learning approach
|
2023 |
자살사고 속성척도 (Suicidal Ideation Attributes Scale; 이하 SIDAS) 타당화 연구
|
2023 |
청소년 자해, 자살 사고, 자살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2023 |
비자살적 자해와 자살생각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자살행동 및 심리변인에서의 차이
|
2023 |
자해와 자살행동 메타분석 연구 개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따른 위험 및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
2023 |
비자살적 자해행동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
2023 |
법무보호대상자(출소자) 대상 심리상담서비스에 대한 기관 내·외부 전문가의 인식: 2017년 인터뷰를 토대로
|
2023 |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Counseling within the Scope of Rehabilitation Counseling |
2022 |
잠재전이분석(LTA)을 활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PTG) 수준의 양상과 영향요인 검증
|
2022 |
South Korean validation of the COVID-related-PTSD scale in a non-clinical sample exposed to the COVID-19 pandemic.
|
2022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비일상성 경험과 건강행동이 부정정서, 불안, 직무소진,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 효과
|
2022 |
한국판 지속비애척도 (PG-13-K) 종단 타당화 연구
|
2022 |
청소년의 트라우마
|
2022 |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외로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기반한 잠재계층분석
|
2022 |
한국판 트라우마 분노반응척도-5 (DAR-5-K) 의 종단 타당화 연구
|
2022 |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스트레스 대처 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와 영향요인 검증.
|
2022 |
코로나 대유행이 부정정서, 우울, PTSD 증상,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4개월 단기종단연구
|
2022 |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suicide screening questionnaire-observer rating (SSQ-OR)
|
2022 |
A review of suicide risk assessment tools and their measured psychometric properties in Korea |
2022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rating suicide risk screening questionnaire |
2022 |
자기보고형 자살 스크리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예비 연구
|
2022 |
How Bereaved Parents Experience Public, Self Stigma Years After a Child’s Death.
|
2022 |
Psychometric properties, st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olonged Grief Disorder Scale (PG-13-K): A longitudinal study among bereaved Koreans. |
2022 |
트라우마와 사별 경험에 대한 개인의 의미통합 척도(K-ISLES): 한국판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
2022 |
한국판 지속비애척도 (PG-13-K) 종단 타당화 연구
|
2022 |
비자살적 자해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 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및 보호요인
|
2022 |
외로움과 비자살적 자해 심각도의 관계: 미디어 및 대인관계를 통한 자해노출의 조절효과.
|
2022 |
비자살적 자해행동 평가도구 개관
|
2022 |
자해 심각도와 정서조절곤란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유형 분석: 영향요인 및 유형별 심리적 디스트레스 차이
|
2022 |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 외상,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수감횟수간의 관계구조 분석.
|
2022 |
Validation of the South Korean adolescents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
2022 |
정신건강 영역에서의 디지털 치료제 동향과 시사점
|
2022 |
Development of a Mental Health Application: A Formative Evaluation
|
2022 |
Longitudinal perspective of the stigmatization of secondary school dropouts. |
2022 |
Validation of the South Korean Version of the Beliefs about Emotions Scale |
2022 |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경험 탐색
|
2022 |
South Korean short version of the Swedish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
2021 |
초월적 시간관 척도 (TFTPS) 타당화
|
2021 |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서의 CISD와 CISM 집단 경험보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
2021 |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동안 한국인의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의 영향력에 대한 종단 두시점 비교연구
|
2021 |
여자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유지에 대한 사례연구: 생물심리사회모델을 중심으로
|
2021 |
성인의 아동기 학대와 비자살적 자해 발생의 관계에서 성인애착과 자존감의 매개효과: 통합적 이론모델을 중심으로
|
2021 |
Influence of Childhood Trauma on Former Prisoners’ Attributional Style and Recidivism in Three Years.
|
2021 |
출소자의 아동기 가족구조와 현재 가족 연결 여부에 따른 주관적 가족 경험 및 심리기능의 차이
|
2021 |
아버지의 정서표현 및 정서반응이 자녀의 정서표현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
2021 |
초· 중학생 반응적, 주도적 관계공격성이 또래괴롭힘 피해 및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
2021 |
학교 밖 청소년의 관계경험 탐색: Haslam 의 사회정체성 모델 적용
|
2020 |
PCL-5 (DSM-5 기준의 PTSD 체크리스트) 성인 대상 한국판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2020 |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
2020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PTSD 증상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따른 잠재계층 도출과 영향요인 검증: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2020 |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Expanded: PTGI-X) 의 한국판 타당화 연구
|
2020 |
잠재프로파일분석 (LPA) 를 통한 성인 외상 경험자의 PTSD 증상의 유형과 특성 분석
|
2020 |
Parental perceptions of surviving sibling grief responses to an adolescent’s violent and sudden death by the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
2020 |
A Longitudinal Perspective on Bereaved Parent's Changes in Life Experience after the 2014 Sewol Ferry Sinking. |
2020 |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애도회피의 매개효과.
|
2020 |
대학생의 자해 중단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2020 |
비자살적 자해의 중단 및 유지집단 간 비교연구: 자해특성과 통합적 이론모델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
2020 |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비자살적 자해 심각도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정서홍수모델을 중심으로
|
2020 |
비자살적 자해 공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2020 |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외상, 자아탄력성, 적극적/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초범/재범여부와 주거/숙식 지원여부를 중심으로
|
2020 |
청소년 자녀를 둔 남성 출소자의 아동기 학대외상이 아버지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이중매개효과
|
2020 |
초등학생의 우울과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행동의 관계: 인터넷 중독성향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
2020 |
아동의 부애착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2020 |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변인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2020 |
초등학생의 또래거부가 외현적/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구조의 조절효과.
|
2020 |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의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을 중심으로
|
2020 |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20 |
한국판 정서에 대한 신념 척도의 타당화
|
2019 |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활용한 PTSD 증상과 외상 후 성장 수준의 양상: 폭식, 비자살적 자해, 문제성 음주의 차이
|
2019 |
대학생의 애착유형, 지각된 사회적지지,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
2019 |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한 성인의 낙관성, 대처 방식, 외상 후 성장, PTSD 증상, 음주 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
2019 |
트라우마 사건 경험과 심리적 증상,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
|
2019 |
학교 장면에서의 위기대응 양상에 관한 사례 연구 : 자살 위기 상황에서 학교 상담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
2019 |
사별 이후 지속비애 증상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
2019 |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애도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2019 |
사별의 예측 여부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
2019 |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잠재계층유형의 위험요인과 정서행동문제의 관계
|
2019 |
한국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자해 방법 및 기능에서의 성차를 중심으로
|
2019 |
출소자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자활의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수감횟수 및 최초범죄연령별 다집단분석
|
2019 |
범죄유형 및 수감기간에 따른 남성 출소자의 MMPI-2 반응 특성 비교
|
2019 |
출소자 대상의 보호사업 및 심리상담 서비스가 재범여부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
2019 |
성인 출소자의 아동기 외상과 가족기능성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검증
|
2019 |
증권사 접점 직원의 정서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과 직무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조절된 매개효과
|
2019 |
Unselfish Motivations and Devian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ocial Concern Theor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
2019 |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학급 및 초등학생 특성 이해: 또래관계 및 스트레스, 학교적응, 공격성을 중심으로
|
2019 |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이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성향과 충동성의 이중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2019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2018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PTSD(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연구 동향 탐색
|
2018 |
DSM 진단기준 여부에 따른 청소년의 트라우마 경험과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성의 매개효과
|
2018 |
DSM 진단기준의 충족 여부 및 사건의 직, 간접 경험 여부에 따른 심리적 기능의 차이
|
2018 |
DSM 진단기준과 대인 및 비대인 외상사건에 따른성인의 PTSD 증상, 심리적 디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의 차이
|
2018 |
PTSD 증상의 조건비율에 근거한한국 성인의 트라우마 경험에 관한 연구
|
2018 |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정서적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18 |
자살사건 외상대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고등학교 교사경험을 중심으로
|
2018 |
Parental Perceptions of Surviving Sibling Grief Responses to an Adolescent’s Violent and Sudden Death by the Sewol Ferry Disaster |
2018 |
Parenting school-aged children after the death of a child: A qualitative study on victims’ familie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
2018 |
사별에 따른 지속비애 증상과 문제성 음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2018 |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자조집단 경험에 대한 연구
|
2018 |
자녀를 잃은 아버지들의 삶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세월호 재난을 중심으로
|
2018 |
청소년 자녀와 사별한 부모의 부부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세월호 유가족의 경험을 중심으로
|
2018 |
사별을 경험한 성인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으로 조절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
2018 |
여섯 번의 수감 생활을 한 여성 노인의 생애사 재구성
|
2018 |
남편의 수감 생활 및 출소 과정에서 경험하는 출소자 아내의 자녀양육: 자녀의 발달수준을 중심으로
|
2018 |
사회연결망 분석에 기반한 우울 성향을 지닌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분석
|
2018 |
초등학생의 ADHD 하위요인 증상이 인터넷 과다사용과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2018 |
초.중학생의 생활양식과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충동성, 인터넷 과다사용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18 |
교사, 부모,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ADHD 성향과 또래거부간의 관계
|
2018 |
부모 및 교사가 보고한 아동의 ADHD증상이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기술과 우울증상의 이중 매개효과
|
2018 |
학생, 부모, 교사가 보고한 초기 청소년 ADHD 증상의 요인 구조 모형에 관한 탐색 연구
|
2018 |
ADHD 증상과 집단따돌림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인터넷 중독 성향과 분노표출의 매개효과
|
2018 |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 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2018 |
Strengths based rehabilitation assessment: Adapted Inventory of Virtues and Strengths |
2018 |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와 부애착의 조절효과
|
2018 |
학생 위기개입 과정에서의 교사경험에 대한 연구
|
2018 |
Resilience From a Virtue Perspective |
2017 |
Peer victimization in Korea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influence of parental bonding and mental health |
2017 |
성별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이 PTSD 증상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반추의 매개효과
|
2017 |
대학생의 가족 및 타인에 의한 대인외상경험과 심리적 증상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
|
2017 |
성격 5요인, 외상 후 인지, 사건관련 반추, PTSD 증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외상 후 성장모델을 중심으로
|
2017 |
Life Experience of Bereaved Parents After the 2014 Sewol Ferry Disaster in South Korea |
2017 |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의 내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심리정서, 신체, 인지, 행동적 차원을 중심으로
|
2017 |
세월호 재난으로 자녀를 잃은 부모들의 사회적 지지, 갈등, 고립경험에 관한 연구
|
2017 |
한국판 지속비애 척도의 타당화 연구
|
2017 |
여성출소자의 사회재진입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2017 |
교정전문가 및 교정상담자가 인식하는출소자의 사회재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
2017 |
출소자의 부모애착과 수감횟수의 관계에서 공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숙식지원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
2017 |
ADHD 증상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2017 |
Comparative Analysis of Work Values Across Four Nations |
2017 |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
2017 |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 연구
|
2017 |
초등학교 남자교사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육아휴직 후 1년 이내의 변화
|
2016 |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2016 |
대학생의 대인외상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외상경험 관련 변인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2016 |
세월호 재난으로 친구를 잃은 청소년의 외상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자의 보고(report)를 중심으로
|
2016 |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삶과 가족관계 경험
|
2016 |
아직도 가야 할 길: 출소자의 아내가 경험하는 삶의 도정(道程)
|
2016 |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 주거지원 가정을 중심으로
|
2016 |
수감자 아내들의 삶
|
2016 |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2016 |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
2016 |
한부모가정 아동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이 우울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기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2016 |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2016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onding and peer victimization: examining child stress and hopelessness as mediators |
2016 |
전통예술 가업계승 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족의 의미-Giorgi 현상학적 접근
|
2016 |
일본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심리지원체계 고찰과 시사점
|
2016 |
재난 대응시 심리지원 체계의 국내.외 현황
|
2016 |
Psychosocial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A Virtue Based Model |
2016 |
Measuring the Virtues and Character Traits of Rehabilitation Clients: The Adapted Inventory of Virtues and Strengths |
2016 |
Application of social control theory to examine parent, teacher, and close friend attachment and substance use initiation among Korean Youth |
2016 |
Schoo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in East Asia: Perspective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field |
2016 |
대학생의 회피애착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2016 |
세월호 재난 위기개입에 참여한 상담자의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접근
|
2015 |
고위험 공무 직업군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2015 |
대학생이 경험하는 외상사건 유형에 관한 연구
|
2015 |
외상을 경험한 여자 대학생의 성인애착과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2015 |
Psychological, family, and social factors linked with juvenile theft in Korea |
2015 |
절망 속에서 희망 찾기: 주거지원 남성출소자의 교도소 수감 및 출소에 대한 부인의 경험
|
2015 |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
2015 |
재난정신건강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2015 |
미국의 재난심리지원 체계 및 재난위기상담의 실제와 시사점
|
2015 |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2015 |
세월호 재난상담에 참여한 여성상담자의 성장에 관한 생애사 연구
|
2015 |
중학생이 지각한 모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충동성의 조절효과
|
2015 |
청소년 스마트폰 사용 및 예방교육에 대한 부모, 교사, 학교 현장 전문가의 인식
|